ISA 절세계좌 : 매매차익 & 배당소득세 비과세 혜택과 한도
- 짠테크
- 2025. 1. 27.
ISA계좌의 비과세 혜택과 납입 한도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해 드릴게요! 😊
ISA 계좌란?
ISA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, 한 계좌에서 여러 금융상품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특별한 계좌예요.
그리고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세제 혜택이죠!
쉽게 말해, 투자해서 번 돈 중 일부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계좌예요.
이 때문에 투자와 절세를 동시에 원하는 분들에게 인기 만점!
ISA 비과세 혜택
ISA 계좌의 비과세 혜택은 크게 두 가지예요:
- 매매차익 비과세
- 주식을 사고팔아서 얻은 이익(차익)에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돼요.
- 예를 들어, 100만 원에 산 주식을 150만 원에 팔아서 50만 원의 이익이 생겼다면, 이 금액에 대한 세금은 0원!
- 배당소득 비과세
- 주식에서 나오는 배당금에도 세금을 내지 않아도 돼요.
- 일반적으로 배당금에는 15.4%의 배당소득세가 붙지만, ISA 안에서는 비과세로 처리돼요.
추가로!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이익에 대해서는 9.9%의 낮은 세율(분리과세)이 적용되기 때문에 일반 투자 계좌에 비해 훨씬 유리하답니다!
ISA 비과세 한도
ISA의 비과세 혜택에는 한도가 있어요.
- 일반형 ISA
- 연간 비과세 한도: 200만 원
- 초과분: 9.9%의 분리과세 적용
- 서민형·농어민형 ISA
- 연간 비과세 한도: 400만 원
- 초과분: 마찬가지로 9.9%의 분리과세
즉, 매매차익 + 배당소득의 합계가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전부 비과세이고,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만 낮은 세율이 붙는 거예요.
ISA 납입 한도
ISA 계좌에는 돈을 넣는 데도 한도가 있어요. 이 부분도 중요한데요:
- 총 납입 한도
- ISA 계좌에 넣을 수 있는 총 금액은 3년 동안 2,000만 원이에요.
- 3년간 최대 2,000만 원까지만 납입할 수 있으니, 계획적으로 넣는 게 좋아요.
- 연간 납입 한도
- 매년 최대 1,000만 원까지만 납입 가능해요.
- 예를 들어, 첫해에 500만 원만 납입했다면 남은 1,500만 원은 이후 해에 나눠서 넣을 수 있어요.
참고로! 납입 금액은 내가 직접 충전하는 돈이고, ISA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익(매매차익, 배당금)은 납입 한도에 포함되지 않아요.
ISA 계좌, 꼭 알아야 할 점
- 한도를 잘 계산하기
- 비과세 한도와 납입 한도를 헷갈리지 말 것! 납입 금액은 최대 2,000만 원, 비과세 혜택은 연간 200~400만 원.
- 분리과세 활용하기
-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더라도 9.9%의 낮은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일반 계좌보다 훨씬 유리해요.
- 장기적인 절세 전략
- ISA는 5년 동안 운영되는 계좌라서, 단기 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절세 효과를 누릴 계획을 세우는 게 좋아요.
ISA 계좌는 소소한 투자 수익이라도 세금을 아끼고 싶은 분들에게 정말 추천할 만한 절세 도구예요.
특히 매매차익과 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은 알뜰한 투자자라면 꼭 알아둬야 할 부분이죠!
다음에도 알뜰한 금융 정보를 가지고 돌아올게요. 😊
'짠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RP 계좌에서 배당받으면 세금이 나갈까? (배당소득세 vs 연금소득세) (0) | 2025.02.01 |
---|---|
IRP 계좌에서 ETF 매매할 때 수수료가 없다고?! 🎉 (1) | 2025.01.31 |
부서이동시 위트 있는 자기소개, 어떻게 하면 될까? (0) | 2025.01.26 |
경기지역화폐 수원페이 20% 인센티브 도전기 : 3시간의 사투 끝 성공!!! (0) | 2025.01.24 |
메리츠증권, 배당금 기다리다 봄 올 뻔?! 왜 이렇게 늦을까? (FEAT. APLY) (0) | 2025.01.23 |